시집『정곡론正鵠論』表辭의 글.
한 편의 시는
칼과 같다.
잘못된 칼은 사람을 찔러
피를 흘리게 한다.
좋은 칼은 사람을 찔러도
피가 나지 않는다.
그게
한 편의 좋은 詩다.
- '시인의 말'에서 옮김.
올해의 궤적
2019년 기해년(己亥年)이 저물고 있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될 만큼 아름다운 곳인 경남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지안재의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차량들이 긴 불빛 궤적을 남기며 지나가고 있다.
고갯길만큼 우여곡절 많았던 한 해도 가고 있다. 캐논 EOS-1DX MARK2 카메라에 24mm 렌즈로
조리개 F18, 15분 노출(벌브 촬영).
<詩>
시인 홍해리
- 제22시집『정곡론』을 받아 들고
김석규
천하의 시인 홍해리가 정곡을 향해 한 방 날렸다.
- 월간《우리詩》2020. 4월호.
* 정일남 시인의 블로그에서 옮김.
http://blog.naver.com/PostView.nhn
* 정곡正鵠
「활을 쏘는 사람은 어떻게 쏘며 어떻게 듣는가. 소리를 좇아서 발사하고 발사해서 정곡을 놓치지 않는 자는 오직 어진 사람일 뿐이다. 저 재주 없는 사람이라면 어찌 적중시킬 수 있겠는가.(射者何以射, 何以聽. 循聲而發, 發而不失正鵠者, 其唯賢者乎. 若夫不肖之人, 則彼將安能以中.)」(《예기(禮記) 〈사의(射義)〉》)
「공자(孔子)가 말했다. 활을 쏘는 것은 군자와 닮은 점이 있다. 정곡을 놓치면 돌이켜 자기 자신에게서 문제점을 찾는다.(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중용(中庸)》)
「정현(鄭玄)의 주에 의하면 천에 과녁을 그리는 것을 ‘정(正)’이라 하고 가죽에 그리는 것을 ‘곡(鵠)’이라 한다. 육덕명(陸德明)의 석문에 의하면 ‘정’과 ‘곡’은 모두 새의 이름이다. 또는, ‘정’은 ‘바르다(正)’라는 뜻, ‘곡’은 ‘곧다(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대사(大射)에는 가죽 바탕에 ‘곡’을 그리고, 빈사(賓射)에는 천 바탕에 ‘정’을 그린다.(鄭玄注, 畵布曰正, 栖皮曰鵠. 陸德明釋文, 正鵠皆鳥名也. 一曰, 正, 正也, 鵠, 直也. 大射則張皮侯而栖鵠, 賓射張布侯而設正也.)」
이를 쉽게 풀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과녁을 ‘적(的)’이라 하고, 과녁의 바탕을 ‘후(侯)’라고 한다. 과녁 바탕을 천으로 만든 것을 ‘포후(布侯)’, 가죽으로 만든 것을 ‘피후(皮侯)’라고 하는데, 각각 용도가 다르다. 과녁의 한가운데를 포후에서는 ‘정(正)’이라 하고, 피후에서는 ‘곡(鵠)’이라 한다. ‘정’은 솔개의 이름이고, ‘곡’은 고니를 가리키는 말이다.」
‘대사’는 선비 선발을 위한 대제를 지내고 난 후의 활쏘기 의식을 말하고, ‘빈사’는 천자가 벗들과 연회를 한 후에 행하는 활쏘기 의식을 말한다.
'시집『정곡론正鵠論』(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집『정곡론』표지 (0) | 2020.02.14 |
---|---|
사진과 약력 /『정곡론正鵠論』 (0) | 2020.01.18 |
시인의 말 (1) | 2019.12.25 |
물은 물리지 않는다 (0) | 2019.12.21 |
시작 연습詩作鍊習 (1) | 2019.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