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평론·시감상

초겨울 풍경 - 치매행致梅行 · 283 / 장수철(시인)

洪 海 里 2018. 7. 19. 20:40

초겨울 풍경

- 치매행致梅行 · 283

洪 海 里

 

 


말 없는 나라로부터 소식이 올까

혹시나 하지만 온종일 대답도 없고


바람에 슬리는 낙엽, 낙엽,
나겹나겹 낮은 마당귀에서 울고 있다


내 마음 앞자락까지 엽서처럼 날아와서
그리움만 목젖까지 젖어 맴돌고 있지만


마음만, 마음만 저리고 아픈 날
솟대 하나 하늘 높이 푸르게 세우자


여린 날갯짓으로 당신이 날아온다면
나도 비인 가슴으로 기러기 되어


무작정 당신 곁에 가 앉아 있으리

하염없이 지껄이는 지아비 되리.

                                                                          

 * 소멸은 점진적이다. 그러다가 소실점처럼 존재는 아득한 제로가 된다.

그러나 화자가 마주한 상대는 현실을 떠나 이 세계와 평행한 그러나

다다를 수 없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상대의 의식은 현실의 어떤 달력

위에 멈춰져 있고 현실과는 다른 역법을 사용하는 시간 위에 화자와 다른

방식으로 소실점이 되어간다. 그리고 화자는 그 이상한 세계의 입구에서

자신과 상대의 기이한 두 겹의 소멸을 견딘다. 어머니의 자궁처럼 한번

빠져나간 자는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그 병리 속, 화자는 닫힌 세계의 문

앞에서 ‘나겹나겹’세상에서 가장 슬프고 애달픈 의성어로 울다가, 높은

그리움의 솟대 하나를 마음에 세운다.  시절은 초겨울로 접어들고 곧 겨울이

임박할 것이다. 겨울이 오기 전 사랑하는 이가 새가 되어 돌아온다면 화자도

새가 되어, 함께 새들의 언어로 지저귈 것이다. 지상의 연옥에 홀로 가 있는

사랑하는 이의 소멸 아닌 소멸을 바라보며 함께 소멸을 견디는 화자의 아픔의

높이가 가파르기 이를 데 없다. 누군가의 아픔에 어설픈 언어를 보태는 일은

대체로 그 고통 위에 소금을 끼얹는 결과가 되기 쉽다. 작품의 아름다움의

목전에서 부끄러운 언어를 조심스레 작품에 덧대고픈 평자의 경박함을

무릅쓴다면, 근래 가장 아름답고 애달픈 연시가 아닐까 한다.

          - 장수철, 《우리詩》2018.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