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뚝이는 우리나라 가면극에 등장하는 독특한 인물이다. 이 인물은 양반의 무능과 부패상을 고발하는 역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양반의 그늘에 가려 비참하게 살아온 조선조 서민사회의 비애와 분노. 그 저항 의지가 이러한 인물들의 말과 행동, 즉 그 형상화의 과정을 통해 구현된 것이라 하겠다. 요즘 이 땅의 시단에서는 과거의 여러 문학 장르와 관습들을 재조명하는 한편, 우리 시대의 문학적 감수성으로 그것들을 다시 수용하고 재구성하는 작업들이 시도되고 있다. 과거의 문학 장르와 관습들로서는 주로 민요와 가사, 무가, 판소리, 가면극 등이 선택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말뚝이의 세계를 제재로 택한 일련의 시작품들을 통해 과거의 문학 전통이 현재 어떻게 계승되고 또 새로운 면모를 띄게 되었는가를 함께 살펴보고 싶다.
말뚝이의 유사한 성격을 지닌 인물 유형으로서 조선조 소설에 등장하는 방자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인간상은 어떤 점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을 드러낸다. 예컨대, 「春香傳」이나 「裵裨將傳」에 나오는 방자는 세상물정에 어두운 주인을 골려주거나 당황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그 운명을 바꾸어 놓지는 않는다. 그러나 말뚝이는 가능한한 주인을 불행한 처지로 이끌어 넣고 그 운명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다. 말뚝이는 이런 면으로 미루어 보아 방자보다 훨씬 더 비정하고 가혹한 인간이라 하겠다.
가면극에 등장하는 말뚝이의 습성을 살펴보면 고약한 점이 많이 나타난다. 그들은 아무데서나 침뱉기, 말을 둘러대기, 횡설수설 욕설을 퍼붓기, 틈만 나면 주인의 눈을 속여 놀이판으로 달아나기, 주인집 마나님을 침범하기 등, 그들은 이상한 짓만 골라서 하는 버릇이 있다.
말뚝이의 성격은 천박한 표현을 일부러 골라 쓰거나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그 말투에서도 지적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 실례를 찾아보기로 하자.
① 작년 팔월에 선생님댁에서 등산갔다 남아온 좆대갱이 하나 줍디다. ② 아, 이 제미를 붙을 양반인지 좆반인지 ③ 삼털같은 칼담배를 저 평양 동푸루 선창에 돼지 똥물에다 축축 축여 놨습니다. ④ 썩정 바자 구녕엔 개대강이요 헌바지 구녕엔 좆대강이라. ⑤ 이놈의 목쟁이를 뽑아다 밑구녕에다 꽂는 수가 있으면 내 좆대강으로 생원님의 입술을 떼어 드리겠습니다.
이것은 봉산탈춤에 나오는 말뚝이의 대사 가운데서 골라 본 것이다. 조잡하기 이를 데 없다. 다같이 조선조 후기 사회의 서민문학 양식으로 선택된 사설시조에서도 이런 조잡한 표현들을 두루 찾아볼 수 있으나, 가면극의 경우에는 그 조잡함의 정도가 더욱 심한 것 같다. 어떤 제재든지 간접적 암시방법을 사용해서 우회적으로 나타내거나 미화함이 없이 그대로 적나라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이런 직설적 발화형식은 고전적 문학 교양이나 가치관을 그 근저로부터 흔들어 놓으려는 저항적·파괴적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 하겠다. 다음에는 말뚝이의 제재를 다룬 오늘의 서정시 작품에서 그 실례들을 찾아보기로 한다.
ㅇ 제 에미와 붙을 양반인지 좆반인지(봉산탈춤의 인유…필자주) ㅡ鄭義泓,「말뚝이」 ㅇ 이놈의 목쟁이를 뽑아 밑구녕에다 꽂을 수만 있다면, 내 좆대강으로 저 말잘하는 양반님네들의 입술을 떼어 드리겠어요(봉산탈춤의 인유…필자주) ㅡ동 상 ㅇ 네 애비뼈다귀가 개뼈다귄지 쇠뼈다귄지는 제쳐놓고라도 ㅡ林步,「兩班打作」 ㅇ 똥보다 더 더러운 돈세상이 또 있었당께 퇴퇴퇴. ㅡ朴鎭煥,「말뚝이의 還生記」 ㅇ 홀레하다 쫓겨난 옴중같지요? ㅡ文孝治,「말뚝이 別傳」 ㅇ 사타구니의 뻗질러대는 힘을 이겨내지 못했던 게지요. ㅡ동 상 ㅇ 알몸으로 놀아보세 실룩실룩 지랄발광 ㅡ洪海理,「말뚝이 타령」 ㅇ ○○구멍 X 구멍 ㅡ동 상 ㅇ 계수나무 요분통에 네 것도 박고 내 것도 박고(봉산탈춤의 인유…필자 주) ㅡ동 상
본보기로 몇 가지의 실례만 찾아보았는데, 과거의 가면극에서 가져온 것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든 간에 비속어의 사용이 현저하게 드러남을 보게 된다. 이러한 비속어의 사용은 말뚝이의 눈을 빌어 우리 시대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풍자하고 비판하려는 시인의 의도를 밑바침해 주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말뚝이의 성격과 그 세계관이 오늘의 문학 속에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洪海理의 「말뚝이 타령」은 가면극에 등장하는 말뚝이의 사설을 몇 개 포개어 놓은 것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시인은 말뚝이의 가면을 쓰고, 2음보 중첩의 전통적 율조로 서민생활의 애환을 구성지게 노래하고 있다. "낙목한천 해는 지고 / 외기러기 울고 가니 / 꼭두서니 저녁놀로 / 이 내 가슴 타는구나 / 청맹과니 스라소니 / 쓰러지고 넘어지고 / 자빠져서 박살나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운 계절의 상징으로 외롭고 쓸쓸한 마음의 분위기를 드러내는 전습적 표현방법을 빌어 말뚝이의 암담한 세계를 환기시키는 한편, "강남땅 복부인"으로 대표되는 현대판 취발이를 끌어들여 말뚝이의 분노와 울분을 대조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우리네 인생 불쌍한 인생 어디서 왔다 어디로 가나 공수래요 공수거인 이 내 팔자 한심하다 ……(중략)…… 강남땅의 복부인은 아랫배가 남산이라 디룩디룩 오리걸음 몇 천 억은 한 입이요 한탕주의 탕탕주의 산수갑산 꿀꺽꿀꺽
서로 다른 두 계층의 삶을, 몽타주 수법으로 편집해 놓은 이 부분은 가면극의 말뚝이가 샌님과 결탁하여 취발이의 돈을 뜯어먹는 가운데 양반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하는 대목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부분은 말놀이(또는 글자놀이)의 재간으로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가면극의 문둥이가 놀음판에서 "일자(一字)나 한장 들고나 보니 호박씨 같은 일자요. / 이자(二字)나 한잔 들고나 보니 도구떼같은 이자요"하고 신세타령을 하는 대목과 흡사하다.
일일은 십일 하나하나 따로 놀고 이이는 이십이 우리님의 대명사요 삼삼은 삼십삼 갈매기 떼 날아든다 사사는 사십사 개인교수 비밀과외 오오는 오십오 감탄사가 무성하고 육륙은 육십륙 배불뚝이 쌍동일세 칠칠은칠십칠 울긋불긋 똥칠 옻칠 팔팔은 팔십팔 팔팔하기 욕바가지 구구는 구십구 구구하기 짝이 없네
이밖에도, 이 작품속에는 語戱謠, 판소리, 說話 등 과거의 문학 장르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었던 표현 수법들이 고루 차용되고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을 읽는 즐거움의 요인들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과거의 비참한 서민생활과 그 정서를 통해 오늘의 현실을 조명하는 인식의 필터와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① 짝짝콩 짝짝콩 쥐얌 쥐얌 쥐쥐얌 돌이 돌이 돌돌이(봉산탈춤의 인유…필자 주) ②소박데기 팔삭동이 안달뱅이 곰배팔이 어둔패기 애꾸눈이 수원집의 깔치 덮치 양아치 뚜장이 땜장이 갈보 먹보 까까중 떼보 울보 곰보각시
③ 눈 빼먹고 간 빼먹고 검정소도 잡아먹고 양잿물도 마셔보고 외상세상 벌떡벌떡 배불러서 못 살겠네 좋아 죽네 좋아 죽어 이것 먹고 저것 먹고 송도 말년 불가사리 인삼 해삼 사삼 토삼 산삼까지 고아 먹고
①은 어희요의 수법을 차용한 것이요, ②는 판소리 수법, ③은 설화의 수법을 차용한 것이다. ①의 "짝짝콩 짝짝콩……"은 어린이들을 어를 때 부르는 것으로서 지금도 농촌에 가면 쉬이 찾아볼 수 있다. 질박한 삶의 정경이 구김살 없이 잘 나타난다. ②에서는 반복적인 각운의 효과를 통해 비슷한 말들을 되는 대로 줏어섬김으로써 웃음을 자아내고 있으며, ③에서는 일정한 形式譚을 늘어놓는 가운데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묘미를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이러한 전습적 기법들이 되풀이 사용되어 서민생활의 내부를 모자이크 하듯 짜모으고 있다.
진단시 동인들은 공동의 관심사로써 고전적 제재를 선택하여 작품화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한국시의 통시적 문맥을 재인식하는 데 유익한 발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말뚞이 시편들을 살펴본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러한 작업들이 좋은 성과를 거둬 나가기 바란다. |
|
(『現代詩와 傳統意識』1991.문학예술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