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중간
- 치매행致梅行 · 330
洪 海 里
새벽에 잠을 깨는
적막 강산에서
남은 날
말짱 소용없는 날이 아니 되도록
깨어 있으라고
잠들지 말라고
비어 있는 충만 속
생각이 일어 피어오르고
허허 적적
적적 막막해도
달빛이 귀에 들어오고
바람소리 눈으로 드니
무등,
무등 좋은 나날!
* 고요한 오두막에 어느 날 톡톡, 달빛이 들어왔다.
바람 소리를 눈으로 볼 수 있었다.
시가 와서, 움츠리고 있던 “생각이 일어 피어오르고” 나는 며칠 일찍 깨어나 백 편의 시를 읽었다.
그런 중에 百과 白 사이에 앉아 “무등 좋은 날”을 덮는 시간이 도래했다.
덮기 전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날’을 아껴 쓰고 싶다는 생각에 머물렀다.
잠깐, 냉정하게 돌아서서 “비어 있는 충만”으로 그리워할까 망설이기도 했다.
이제는 무심중간에 들어 한 편의 시를 기다리는 법을 배우려고 한다.
시를 얻으려고 열어놓은 내 방에는 시로 불러주기에 곤란한 여러 모양의 아류가 비집고 들어오기 때문이다.
슬픔이나 외로움 따위 인정에 이끌리는 낱말이 먼저 도착해 혀를 날름거리기도 한다.
시집 한 권 받은 인연으로 시인을 존대하거나 시어에 덧칠하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
그러니까 시를 시답게 받으려면 단연코 무심중간에 앉는 방법뿐이다.
놓친 시가 많다.
울컥, 동하였으나 내려놓은 시가 열에 아홉이다.
적다가 지운 생각도 많다.
가만, 머뭇거리다가 거둔 마음이다.
고백하기는, 나는 다 헤아리지 못한다.
다만, 허공에 눈을 둔 사람과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붙잡는 사람을 읽었을 뿐이다.
“봄이 오면 눈은 녹는다”는 절실한 마음이 그렇다.
‘눈이 녹는다’는 말이 아니고 ‘눈은 녹는다’에 얹힌 조사에 오래 눈을 두는 사람 있으면 겨울밤 함께 보내도 좋겠다.
- 금 강.
* "아내가 치매로 말을 잃고, 서서히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노시인에게 고통은
높은 깨달음의 길이었습니다. 그 길을 걸으며 묵언 수행 중이던 어느 날,
“달빛이 귀에 들어오고, 바람소리 눈으로 드는 날,” (치매행 330- 무심중간)
깊은 명상으로 알파파 상태인 "무심중간"의 마음 상태에 있던 시인에게 갑자기
지금, 오늘 이곳이 “더할 나위 없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날이다 ”라는
깨달음의 환희가 터집니다.
이 말씀은 ‘치매행’ 시집을 읽고 있는 내게 시인께서 들려주시는
살아 있는 환희의 법문입니다.
「어느 날 새벽 3시 바람 좋은 날, 창가에 밝은 달이 비치는 세란헌洗蘭軒의 작은 방!
8년의 긴 세월을 흔들리지 않고 백운대를 바라보며 묵언 수행하던 노시인의 얼굴에
엷은 미소가 흐르며 갑자기 환희의 “오도송悟道頌”이 터집니다.」
“달빛이 귀에 들어오고/ 바람소리 눈으로 드니/ 무등,/ 무등 좋은 나날!”……!"
- 정진희 (시인).
'시집『봄이 오면 눈은 녹는다』(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오면 눈은 녹는다』의 표4의 글 / 임보(시인) (0) | 2018.07.13 |
---|---|
시집 『봄이 오면 눈은 녹는다』발문 / 임채우(시인 · 문학평론가) (0) | 2018.07.13 |
호반새 - 치매행致梅行 · 329 (0) | 2018.06.21 |
비경秘景 - 치매행致梅行 · 328 (0) | 2018.06.18 |
내 안의 감옥 - 치매행致梅行 · 327 (0) | 201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