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홍해리의 동생이 쓴 시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복도 신발장을 무심히 지나치다가 어느 이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참 이상하다?' 이 학교에 온 지 이제 1년, 작품은 예전부터 있던 것인데.... 수소문을 해 보았습니다. 답은 어렵지 않게 구했지요. 작년에 내가 가르친 아이의 누나랍니다. 이 학교에 저와 종씨인 유일한 아이.. 詩化된 洪海里 2008.04.08
금당도 · 洪海里 시인 / 이생진 금당도 · 홍해리 시인 이 생 진 金塘島 이 먼 곳에 와서까지 海里 시인을 생각한다예쁜 섬 있으면 전화 걸라던, 그러면 쏜살같이 달려가마던 시인우체국 앞엔 장거리전화에 따뜻한 숙소도 있어02-904-6228 다이얼을 돌리면금방 서울 우이동 그 사람 목소리그러나 날씨가 분명치 않아겨울 섬날씨는 서울 처녀 치맛자락처럼 변하는 걸오라 해놓고 태풍이라도 일면해리 당신은 녹동에서 사흘 나는 섬에서 나흘아예 전화 않기로 했지섬에선 약속이 안 되는 거날짜가 있어도 섬안에서만 통하는 기준해리 시인 그걸 알려면 예까지 와야 하는데허나 이곳에 닿을 무렵 나는 소랑도에 가 있을 거요.- 시집『섬마다 그리움이』(1992, 우리글) 詩化된 洪海里 2007.01.20
海里를 찾아서 / 이인평 海里를 찾아서이 인 평 蘭丁 홍해리를 찾아 洪海里에 가네그곳에 사는 해리 형은 '눈 시린 매화' 그늘에서 시를 쓰는데봄이면 봄마다 시와 매화향이 서로 벼락을 치듯 다투어 만개를 하고열린 매화 같은 시의 향기에 취한 해리 형은꽃과 시를 품고 살았는데그토록 봄 벼락이 치는 동안에도 蘭처럼 잠잠한 줄 알았더니해리 형의 시는 어느새 洪海里라는 마을에 온통 시를 피워내고 말았으니그 『봄, 벼락치다』에 이르러 나는 다시 海里를 찾아가네. * 홍해리 시인의 시집 『봄, 벼락치다』 받고 쓴 것.'눈 시린 매화'는 그의 시「洪海里는 어디 있는가」에서 온 것임. 詩化된 洪海里 2006.06.09
자화상 / 홍해리 자화상 洪 海 里 나의 몸은 정사각형몸 위에는 정삼각형의 머리하늘을 향해똑바로 붙어 있고 양쪽엔 두 개의 원으로 된 팔세상을 상대로제대로 달려 있고밑에는 두 개로 된 하나의 삼각형다리가 되어 우주를 딛고 있네하나의 삼각형은 개성을사각형은 지성을원은 사랑을두 개로 된 삼각형은 섹스를상징한다 할 때마음대로 상상해 보시라그것은 그대의 자유그리고그대도그려 보시길그대의 자화상을--- 푸른 영혼을 위하여단, 이 네 가지 중 하나는반드시 두 번 사용해야 함.그대의 자화상은?(2001) 詩化된 洪海里 2006.04.11
자화상 / 홍해리 자화상 洪 海 里 내 몸에 흐른 강이 몇 개수직으로 떨어지는 폭포가 몇 개이마에 매달린 납덩이가 몇 개가슴속 갈매기 깃발이 몇 개털 빠진 기회의 꼬리가 몇 개너무 가까워 보이지 않는 눈썹이 몇 개아, 무엇이 무엇인가 무엇이 몇 개. (1987) 詩化된 洪海里 2006.04.11
<詩> 난초書房 海里 / 임 보 난초書房 海里 임 보 洗耳泉 오르는 솔밭 고개 바다만큼 바다만큼 蘭草밭 피워 놓고 寒蘭, 春蘭, 素心, 報歲 흐르는 가지마다 그넷줄 얽어 구름을 박차고 하늘을 날다 빈 가슴에 시가 익으면 열서넛 동자놈 오줌을 싸듯 세상에다 버럭버럭 시를 갈긴다. - (임보 시집『은수달 사냥』1988) 詩化된 洪海里 2006.04.11
<詩> 蘭 · 洪海里 / 이무원 蘭 · 洪海里 이 무 원 산자락 울리는 칼바람 파란 하늘만 먹어도 넉넉한 새벽 순결 선혈이듯 번지는 살 속의 뼈 헤어지고 나서야 풍기는 香. - (이무원 시집『그림자 찾기』1987) 詩化된 洪海里 2006.04.11
<詩> 시인의 '淸別' / 이생진 시인의 '淸別' 이생진 해리海里 시인의 열기는 찬물을 열 말쯤 끼얹어도 가시지 않는다 중년을 넘어서며 활활 타오르는 활화산 섬 한구석 청별淸別에 와서도 북한산 꾀꼬리 이야기를 꺼낸다 그러다가 빗속에서 가냘픈 이별을 만나면 '빗방울 하나에도 바다는 깨어지고 동백나무 아래서 .. 詩化된 洪海里 2006.04.10
<詩> 蘭 · 海里 / 오수일 蘭 · 海里 오 수 일 남도 땅 해리면 산 번지 일대지천으로 깔리는 사랑도이쯤에선눈먼 계집투명한 입술을 물고문 열리는 소리를 듣는다. 차가운 눈썹 하나로허공에 떠서소식없이 몸 푸는 하얀 앙가슴어디쯤천리향으로 일고 있는 바다. 남도 바람이 놓고 간 손짓 하나로어긔야, 달빛 받아 몸살 나는서늘한 눈매눈이 내리니아, 아, 비수처럼 꽂히는 사랑. 실부벼 길들인잎새마다문 열리는 소리를 듣는다. - 吳壽一 시집『가을이면 당신도 물들 겁니다』91991) 詩化된 洪海里 2006.04.10
<詩> 蘭詩花 - 洪海里 시인 / 이인평 蘭詩花 ― 洪海里 詩人 이 인 평 蘭잎이 흔들린다 고요를 가만히 흔드는 잎이다 그는 蘭香千里에 있다, 蘭香千里까지 닿은 사람이 없더라도 그의 어깨는 蘭잎에 닿고 한 잔, 홍안은 蘭香에 머물렀다 사람은 蘭을 닮아야 했다 슬픔 머금은 향기처럼 칼날을 스쳐야 했다 그의 詩는 칼끝에 잘린 절제였다 蘭을 보며 詩를 쓰니 千里의 발걸음이 가볍네 그를 아는 데는 삼 년이 지나야 했다 '蘭丁'에 오른 사연은 또 삼십 년은 족히 머물거늘 그 香이 정수리에 배일 때까지는 누군들 黙道를 닦아야 하리라 한세상이 蘭만 같아라 白骨의 뿌리에서 得道의 첩경이 가볍게 흔들리는 蘭詩花를 얻게 되리라 벙그는 꽃잎에 입술이 닿으면 데인 혀가 千里를 달리듯 그의 어깨에서 蘭잎이 흔들린다. -『牛耳詩』제154호(2001. 4.. 詩化된 洪海里 2006.04.03